- 창업 세금의 A~Z까지
- 현장에서 업무를 하는 세무사들이 들려주는 창업 현장 이야기

“사업자 등록은 어디서 하나요?”
“옆집하고 매출은 비슷한데 내 가게만 세금이 많은 것 같아요.”
“직원을 뽑았는데 비용처리는 어떻게 하나요?”
“사업이 어려울 때 세금을 나눠서 낼 수 있나요?”
수많은 창업 사장님들이 세금 문제로 고민을 한다. 세금 신고는 이리도 빨리 돌아오는지, 부가가치세, 4대 보험료, 각종 영수증을 어떻게 챙겨야 하는지 정신이 없다. 사업은 시작했는데 인건비와 세금 신고는 항상 어렵게만 느껴져 속 시원하게 설명해주는 설명서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때가 많을 것이다. 10년 이상 현장에서 사장님과 부대끼며 일한 세무사들이 꼭 알려 주고 싶은 세금노하우를 풀어 쓴 책이 출간되었다.
책에서 창업을 시작하는 초보 사장님이 사업자 등록을 집에서 내는 방법을 친절히 설명해주고 있다. 온라인 쇼핑몰, 구매대행, 유튜버, 번역 등의 사업은 사무실이 꼭 필요하지 않다. 집에서도 얼마든지 운영할 수 있어서 사업자 등록을 집 주소로 낼 수 있다. 이때 필요한 서류가 무엇인지? 각 파트마다 사업에 필요한 여러 내용 어떤것이 있는지 정리되어 있다. 목차별로 중요한 내용을 뽑아보면
파트1 쫄지 말고, 창업하리라
: 사업자 등록하는 방법,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 어느 쪽이 유리할까?, 동업할 때 주의할 점, 부모로부터 창업 자금을 얼마까지 증여받을 수 있나? 등
파트2 비용을 제대로 처리해야 세금 뒤통수 안 맞는다
: 세금계산서, 현금영수증, 신용카드 매출전표의 차이는?, 적격증빙이 없어도 경비 인정되는 것들은?, 접대비는 얼마까지 쓸 수 있을까?, 승용차 구입은 리스·렌트·할부 중에 어떤 게 좋을까요? 등
파트3 인건비 제대로 관리하는 법
: 인건비 원천징수가 무엇인가요?, 4대 보험도 줄일 수 있다,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했을 때 세금 신고는? 등
파트4 사업이 덜컹거릴 때 살아남기
: 대금을 못 받았는데 부가가치세를 냈다면, 억울한 세금을 구제받는 방법은?, 자금 사정이 어려워 납부 기한을 연장할 수 있을까?, 사업장이 여러 개일 때 편리하게 신고하는 방법은? 등
파트5 이것만 알아도 5천만 원 세금을 줄일 수 있다
: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은?, 기장만 해도 세금이 줄어든다, 성실신고 확인 대상이 되었을 때 세제 혜택은?, 중소기업으로 창업했다면 세금 혜택이 있다 등
파트6 이제는 해외로 강제 진출 브라보 그리고 인터넷
: 수출하면 부가가치세를 환급받나요?, 면세품목을 수출하는 경우 부가세를 환급받는 방법은?, 해외에 콘텐츠 저작권료를 지급할 때 주의할 사항은?, 펀딩플랫폼 킥스타터·인디고·와디즈·텀블벅의 세금 신고는, 인터넷 미디어 유튜브 사업자 유형은 면세? 과세? 등
우리나라의 세금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사장님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로 혼란을 주고 있다. 세금을 내는 행위는 사업자 입장은 지출되는 비용이다. 이 비용을 잘 관리해야 회사를 잘 운영해 갈 수 있다. ‘창업은 처음이지? 초보사장의 세금노하우’에서 세금을 줄이는 비법을 찾아가도록 안내하고 있다.